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22일 오전 10시 30분경부터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공수처는 윤석열 대통령이 사용한 비화폰 서버 기록과 대통령실 내 PC 등 전산장비, 윤 대통령이 관여한 회의록 등을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조지호 경찰청장 등과 비화폰으로 통화하며 국회 봉쇄와 국회의원 체포를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비화폰은 도청과 감청, 통화 녹음이 불가능한 보안전화로 서버에만 통화 기록이 남는다.
공수처는 계엄 관련 문건과 회의록, CCTV 등도 함께 확보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통령경호처의 거부로 압수수색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도 대통령실, 대통령경호처, 대통령 안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4차례 시도했지만 경호처의 저지로 무산된 바 있다.
공수처는 현재 경호처 측과 협의하며 대통령실과 관저 내부 진입을 시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절차 등에 따라 압수수색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번 압수수색도 불발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한편 공수처는 같은 날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과 방문조사도 재시도했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윤 대통령이 여러 차례 구속영장 심사 소환에 불응하고 있어 강제 구인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공수처 차량이 오전 10시 20분경 서울구치소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수사팀 동선은 공개되지 않았다.
공수처는 방문 조사 가능성을 고려해 교정당국에 공문을 보냈고 구치소 내에 조사실도 별도로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조사에 응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공수처의 이같은 행보는 허락된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법원이 구속 연장을 허가하면 다음 달 7일까지 구속 기한이 연장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소권이 없는 공수처가 윤 대통령을 기소하려면 사건을 검찰에 넘겨야 하는데, 검찰이 당초보다 빨리 사건을 넘겨받기 위해 일정 협의에 나섰기 때문에 공수처에 허락된 시간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 압수수색 시도와 강제구인 재시도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증거를 확보하고 윤 대통령을 직접 조사하기 위한 공수처의 마지막 노력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통령경호처의 저지와 윤 대통령의 비협조로 인해 실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앞으로 공수처의 수사 진행 상황과 윤 대통령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