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관세 대책회의 미국 관세 부과 대응 논의

노란선피 2025. 3. 27. 22: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3일부터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한국 정부는 이를 대응하기 위해 긴급 자동차 관세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오후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관세 부과가 국내 자동차 및 부품 업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안덕근 장관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한국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업계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4월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현대차, 기아, 만도, 현대모비스 등 주요 자동차 기업과 자동차협회, 자동차부품조합,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미국 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자동차는 내달 3일부터, 부품은 5월 3일 이전에 적용될 예정이다. 부품 대상에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부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미국산 비율 인증을 받은 경우 일부 면제가 가능하다.

 

자동차 관세 대책회의


정부는 이번 관세 조치가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정부와 협의를 강화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이 직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어려움에 대비해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안덕근 장관은 이번 대응이 단기간 내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장기적인 협상과 조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달 중으로 비상대책을 발표해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국내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긴급회의에서는 관세 조치가 국내 완성차 및 부품 업계에 미칠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수출 시장 다변화 및 기술 경쟁력 강화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업계는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자동차 관세 대책회의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업계는 이번 사태를 통해 국내외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구조적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