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합동추모식이 18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엄숙히 거행됐다. 참사 발생 20일 만에 열린 이날 추모식에는 유가족과 정부 관계자, 정치인 등 1500여 명이 참석해 고인들의 넋을 기렸다.
추모식은 진도 씻김굿 공연으로 시작돼 묵념, 헌화, 분향 순으로 진행됐다. 희생자 179명의 이름과 공항 계단에 남겨진 추모 메시지가 LED로 송출돼 참석자들의 마음을 울렸다. 유가족들은 편지 낭독을 통해 고인들을 향한 그리움과 사랑을 표현했다.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추모사에서 "억울하게 돌아가신 희생자들의 한을 풀고 싶다"며 "하나의 숨김도 거짓도 없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참사 원인을 밝혀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유가족들은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필요한 개선책을 조속히 마련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며 "모든 조사 진행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유가족 여러분께 소상하게 알려드릴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한 유가족들의 아픔 치유와 일상 복귀를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여야 정치인들도 추모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돈보다 생명이 중시되는 사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으며,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참사의 진상과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회는 피해자와 유가족 지원방안,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담은 특별법 제정에 성심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추모식 이후 유가족과 관계자들은 사고 현장을 방문해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국민들도 자발적으로 축제 행사를 취소하는 등 애도 분위기에 동참하고 있다.
이번 참사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이 착륙 과정에서 사고를 당해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대형 참사다. 당국은 현재까지 대규모 수색 작업을 마무리하고 희생자 시신 인도를 완료했으며, 앞으로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추모식을 통해 온 국민이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유가족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앞으로 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국민 모두가 힘을 모아 이번 참사의 진상을 밝히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